맨위로가기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郞慧和尙塔碑)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탑비로,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낭혜화상 무염(無染)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으며, 웅장하고 화려한 조각 기법이 돋보이는 신라시대 석비의 대표작입니다.
낭혜화상 무염:


  • 801년(애장왕 2년) 출생, 태종 무열왕의 8세손
  • 821년(헌덕왕 13년) 당나라 유학
  • 845년(문성왕 7년) 귀국 후 웅천(현 보령) 오합사(烏合寺) 주지
  • 선(禪)을 널리 알리고 성주사를 크게 번성시킴
  • 888년(진성여왕 2년) 입적, 왕이 '낭혜'라는 시호와 '백월보광'이라는 탑 이름을 내림

탑비의 특징:

  • 크기: 비신 높이 263cm, 너비 155cm, 두께 43cm, 전체 높이 4.55m의 거대한 크기
  • 형태: 거북 모양 받침돌(귀부), 비몸(비신), 머릿돌(이수)로 구성
  • 조각:
  • 귀부: 둥근 뿔, 불을 뿜는 듯한 입, 생동감 넘치는 구름무늬
  • 비신: 앞면에만 비문, 위쪽 양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
  • 이수: 밑면 연꽃 조각, 구름과 용이 뒤엉킨 입체적 조각, 앞면에 툭 불거진 용머리
  • 비문:
  • 최치원(崔致遠)이 짓고, 그의 종제 최인연(崔仁兗)이 씀
  • 5천여 자의 장문으로 낭혜화상의 행적 기록
  •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
  • 건립 연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낭혜화상 입적 2년 후(890년) 부도를 세웠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그 즈음에 비문 작성 및 건립 추정. 다른 설에 따르면 909년 이후 건립.

역사적 가치:

  • 통일신라시대 석비 중 가장 크고 화려하며 보존 상태가 좋음
  • 낭혜화상의 생애와 업적, 당시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
  • 신라 하대 불교사 및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는 웅장한 규모와 정교한 조각, 역사적 중요성을 모두 갖춘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입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영어 이름Stele for Buddhist Monk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유형국보
지정 번호8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주소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8
시대통일신라
소유자국유
수량1기
꼬리표보령 성주사지
문화재청 ID11,00080000,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